상세정보
* 검사 영문명 변경: STAI-KYZ → K-STAI-YZ
검사지와 전문가 지침서의 영문명이
2가지 버전으로 모두 출고되고 있습니다.
물품 수령이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저자
Charles D. Spielberger, Ph. D
아이오와대학교 철학박사
남 플로리다 대학교 석좌 교수 역임
미국 심리학회 회장, 국제 응용심리학회 회장, 국제 스트레스관리학회 회장 역임
『Understanding stress and anxiety』 외 저서, 논문 다수
한국판 표준화
한덕웅
현) 홍우심리학연구소 소장
성균관대학교 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역임
한국심리학회 회장,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한국사회심리학회 회장,
한국 사회문제연구학회 회장 역임
『한국유학심리학』외 저서, 논문 다수
이장호
텍사스대학교 철학박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역임
한국심리학회 회장, 한국상담 및 심리치료학회 회장 역임
『상담심리학』외 저서, 논문 및 번역서 다수
전겸구
현 ㈜한국웰니스협회 대표
전인치유 Academy 대표
매사추세츠대학교 철학박사
대구대학교 심리치료학과/재활심리학과 교수, 브리감영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유타대학교 건강증진학과 교수 역임
한국건강심리학회 회장 역임
『Rules of hope』외 저서, 논문 및 번역서 다수
구성 및 가격
[세트] 전문가 지침서, 검사지+온라인코드(30부) | 70,000원 |
[별도구입] 검사지+온라인코드(30부) | 60,000원 |
[별도구입] 전문가 지침서 | 10,000원 |
K-STAI-YZ 상태-특성 불안검사 YZ형이란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개발은 Spielberger, Gorsuch 및 Lushene(1967)에 의해서 1964년부터 착수되었고 그 후의 사용기간을 거쳐서 1970년에 이른바 상태-특성 불안 검사 X형(STAI-X: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X form)이 제작되었다. 그 후 1983년 미국에서 개정판인 Y형이 출간되었다. 본래 한국판은 이 Y형을 한국문화에 맞게 재표준화하려 하였으나,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을 좀 더 균형 있게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따라 Y형에서 좀 더 발전적인 형태인 YZ형을 개발하게 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상담, 심리치료, 이완훈련, 바이오피드백, 행동 및 인지치료 등의 분야에서 STAI를 이용한 연구들이 현저한 증가추세에 있으며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상태불안 척도의 민감성은 정서반응에 관한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K-STAI-YZ 상태-특성 불안검사 YZ형의 특징
- 주 검사대상자는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 군인, 정신과 환자, 정신-신체 환자, 내과 환자, 외과 환자, 치과 환자 등이며, 특히 스트레스를 심하게 경험할 확률이 높은 고등학생 이상 연령대의 상태불안수준을 평가하는데도 유용하다.
- 어떤 특정한 시간 혹은 상황에 일정한 강도로 일어나 감지할 수 있는 반응인 상태불안과 불안경향에 있어서 비교적 안정된 개인차를 반영하는 특성불안을 측정하고 있는 점에서 STAI-X와 구조가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문항의 개선을 통해 우울감정과 보다 순수한 의미의 불안요인을 측정할 수 있다. 즉 YZ형 검사에서는 불안과 우울을 보다 잘 변별할 수 있다.
K-STAI-YZ 상태-특성 불안검사 YZ형의 구성
하위검사 | 측정내용 |
상태불안 |
피검자가 현재(바로 지금 느끼는 우려, 긴장, 신경과민, 걱정 등의 느낌 측정 (문항수: 20 척도: 4점척도 총점: 80) |
특성불안 |
피검자의 일반적인 불안성향 측정 (문항수: 20 척도: 4점척도 총점: 80) |
K-STAI-YZ 상태-특성 불안검사 YZ형의 활용
- 시험불안, 연설불안, 학업성취, 기억 등 불안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심리학 연구에 널리 사용한다.
- 우울증이나 신경증, 정신분열증 등의 정신의학 및 정신-신체장애의 연구에 있어 불안변화에 대한 측정용으로 사용된다.
- 천식이나 두통, 대장염, 피부염, 십이지장, 궤양 및 감염성 단핵증 등의 기타 정신-신체질환 환자들에게 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사용한다.
- 고혈압 및 관상성 심장질환에 관한 수많은 최근 연구들에서도 사용한다.
- SET 70,000 원
- 전문가지침서 10,000 원
- 검사지+온라인코드 2,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