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대상: 60~90세
[ LICA 노인인지기능검사 ] 건강보험급여 적용
LICA 노인인지기능검사란?
LICA 노인인지기능검사는 문해 노인뿐 아니라 비문해 노인에게도 동일한 검사를 적용하여 정확하게 인지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필요성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비문해자들의 신경심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읽기, 쓰기, 그리기를 제외하고, 문해자들뿐만 아니라 비문해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한 소검사들을 개발하였다.
본 검사는 치매 초기에 저하되는 인지영역들과 경도인지장애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여섯가지 인지영역(기억력, 시공간구성력, 언어, 수행기능(executive function), 주의력, 계산)을 측정하며, 13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축형 LICA의 경우 8개의 소검사)
(채점프로그램 시행 시, 인적사항 입력 단계에서 ① 검사일 선택 후 ② 생년월일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LICA 노인인지기능검사의 특징
LICA 노인인지기능검사는 아래와 같은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비문해인 경우, 인지 기능이 정상임에도 검사 성적의 저조 및 시행 자체가 불가능한 항목들로
인하여 치매로 잘못 판단되는 것을 예방합니다.
2) 비문해이면서 초기 치매인 경우, 기존의 치매 검사 도구들에서 수행이 불가능한 항목을 비문해로
인한 것으로 잘못 판단하고 정상으로 판단되는 것을 예방합니다.
3) 비문해인 치매 환자들에서는 기존의 치매 검사 도구들로는 바닥효과로 인하여 병의 진행 유무,
약물의 효과 등을 추적할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3월 11일 부터 기존 USB 방식의 채점프로그램 제공이 중단되며,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결과처리하실 수 있는 온라인코드가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