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1. 원점수에 근거한 24개 강점의 순위뿐만 아니라 사회적 선희도를 고려한 24개 강점의 T점수, 6개 핵심덕목 영역별 점수, 2차원 구조상의 대표강점의 위치 등을 포함한 검사 결과가 제시되며 검사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원점수 또는 T점수에 근거한 다양한 결과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2. 검사문항에 피검자의 긍정왜곡 성향을 평가할 수 있는 사회적 선희도 척도를 포함하여 보다 신뢰로운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3. 본 검사를 통해 자신의 대표강점을 좀 더 명료하게 파악함으로써 자기이해를 증진하는 동시에, 자기계발과 자기성장을 위한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4. 본 검사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강점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함으로써 상담과정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의 긍정적 자원과 강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내담자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담자가 현실적인 문제를 좀 더 효과적으로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