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의 특징]
• Volcano 모형(이경화, 2002), 통합형 창의성 측정모형(Triple Three Model, 이경화, 2004)을 근거로 개발하였다.
•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표준화 검사로 초등학교 1학년~6학년까지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6단계의 규준을 제공한다.
• 개별 창의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집단검사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문항번호 |
시간 (분) |
측정요인 |
||
창의적 능력 |
활동 (1~5) |
25 |
유창성 |
학습동기 |
융통성 |
자아효능감 |
|||
독창성 |
인지·초인지 전략 |
|||
상상력 |
인지·초인지 전략 |
|||
민감성 |
인지·초인지 전략 |
|||
정교성 |
인지·초인지 전략 |
|||
창의적 성향 |
체크 리스트 (1~30) |
10 |
호기심 |
|
민감성 |
||||
과제집착력 |
||||
유머 |
||||
독립심/모험심 |
||||
문제해결적 리더십 |